▲임산부 유산 예방 지원 연구모임

충남도의회가 고위험 임산부의 유산(사산) 예방과 심리적 회복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출산 시대에 실질적인 돌봄 정책을 고민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제도 개선을 위한 전문가들의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다.

충남도의회 ‘고위험 임산부 유산(사산) 예방 및 지원을 위한 연구모임’은 26일 의회 세미나실에서 제2차 회의와 함께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모임은 정병인 의원(천안8·더불어민주당)이 대표로 이끌고 있으며, 충남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국립공주대학교, 홍성의료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연구모임은 고위험 임산부가 겪는 유산 또는 사산 이후의 심리적 충격과 가족 내 갈등, 조직 내 복귀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충남사회서비스원이 수행 중인 연구용역의 중간 결과가 공유됐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임산부 및 가족들의 의견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의료적·심리적 지원의 필요성과 현행 제도의 한계점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참석자들은 단순한 복지 확대를 넘어, 지역 특성에 맞는 ‘충남형 지원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병인 의원은 “출산을 준비하는 가족들이 겪는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만드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라며 “충남의 출산 환경을 면밀히 분석해 다양한 분야의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