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가 인구 40만 시대를 앞두고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원도심 재정비부터 스마트시티 조성, 인허가 혁신까지—도시개발국이 발표한 전략은 단순한 개발을 넘어 ‘품격 있는 삶’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산시 도시개발국은 8월 26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중부권 핵심 거점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종합 도시계획을 공개했다. 방효찬 도시개발국장은 “최근 1년간 인구가 8,300명 증가해 39만8천여 명에 도달했으며, 내년이면 40만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 유치와 주거환경 개선, 스마트 인프라 확충을 통해 50만 자족도시 실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도시개발국은 ‘2040 아산도시기본계획’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2030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에 착수했다. 모종·배방 등 원도심은 준주거지역으로 조정해 상업과 주거 기능을 조화시키고,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기반시설과 경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둔포 미군기지 주변은 충남도와 협력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도고·배방 일대에는 강소형 스마트시티를 조성해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 육성을 동시에 추진한다.
현재 아산시에는 22개 지구(12.52㎢, 약 9만4천 세대)에서 대규모 도시개발이 진행 중이다. 탕정2지구는 2026년 착공해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방축지구와 풍기역지구, 둔포 센트럴파크 등도 순차적으로 개발된다. 특히 초사동 경찰타운은 국립경찰병원 및 제2중앙경찰학교와 연계해 2033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생활환경 개선도 병행된다. 도시지역과 농촌 빈집 116곳을 정비하고, 일부는 주차장이나 소공원으로 재활용된다. 슬레이트 처리 지원으로 204동을 정비하며, 은행나무길과 곡교천 일대는 야간경관 마스터플랜을 통해 관광 명소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공동주택 품질 관리도 강화된다. 신규 단지에는 품질검수단을 확대 운영해 부실시공을 예방하고, 노후 단지에는 승강기 교체, CCTV 설치, 방수공사 등을 지원한다. 주민 간담회도 정례화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한다.
행정 혁신도 눈에 띈다. 전국 최초로 자체 법령해석 운영위원회를 도입해 인허가 과정의 일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했으며, 공장 설립 사전협의로 처리 기간을 56% 단축했다. 가설건축물 신고 지원, 개발행위허가 변경허가 도서 지원 등 기술 서비스도 확대됐다.
방 국장은 “아산시 도시개발은 단순한 확장이 아닌,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환경 보전과 교통·경관 관리, 생활 인프라 확충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주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